영어 말하기 유창하게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조언

반응형

영어공부하고 5년차가 되었을 즈음, '그러고보니 TOEFL 준비가 내 막연한 계획들중 하나였지'라는 걸 깨닫고 시험쳤습니다. 그런데 목표 점수에 도달하기 까지 얼만큼의 시간이 달했다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1년 정도 지났을 쯤, 대중교통 옆에 앉은 외국인 전화내용이 어떤 컨텐츠와 어떤 맥락에서 얘기중인건지 파악되었습니다. 그리고 심심해서 한국말을 재미삼아 영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등으로 속으로 혼자서 영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수준은 4년차 쯤이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회화에 대해서, 어떻게 보면, 제가 본 글에서 자세하게 말하지 않고 띄엄띄엄 의견을 전개한 것 같기도 해서 첨언한다면, 회화 또한 결론적으로 다양한 문장구조와 어휘들을 접해야만 자연스럽게 구사되는 것입니다. 한번 어릴 적 시기를 떠올려보세요. 우린 부모님에게 뭔가를 요구하거나 할 때 한국어를 조리있게 말을 구사했었나요? 유치원생때까지는 때를 쓰고 어리광을 부리고, 초등학교때는 나름 뭔가 문장은 갖췄지만 어색하기 그지 없습니다. 중학교 들어서는 나아졌을까요? 제 생각엔 아닙니다. 뭐라 말하고 싶지만 말문이 턱 막혀서 화만 버럭지를 때가 많았으니까요. 여기서 말문이 턱막힌다는 건, 감정적으로 격화되어서 그런게 아니라 뭔가 말하고 싶고 무의식적으로 문장구조와 어휘 구성이 어떻게 될지는 짐작이 가는데 실체화가 되지 않아서 내스스로가 답답한 겁니다. 다만 그 시절에 주변을 보다보면 가끔 또래인데 조리있게 얘기하고 풍부한 어휘와 감수성을 보이는 애들이 몇 보입니다. 같은 또래이지만, 뭔가 달라보이는 애들이 있을 겁니다. 그 아이들을 보면, 공통점이 우리보다 더 많은 매체를 접합니다. 주변인들에 국한된 우리 어릴적 언어환경에 비해 책, 신문, 영화, 만화(그림책 수준 말고요 ㅋㅋㅋ) 등등 우리한테 잘 알려져 있지만 잘 알지도, 그 시절엔 피하고싶은(ㅋㅋㅋ) 다양한 매체들을 접한 아이들입니다. 즉, 다독하는 습관이 자연스러운 아이들이기 때문에 컨텐츠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뿐만 아니라 풍부한 언어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어를 정말로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언어수준에서 우리보다 앞섰다고 공인되는 사람들의 언어를 자주 접함으로써 다양한 문장구조와 어휘들을 익히게되고 그 언어경험들이 비옥한 토양이 되어 우리의 언어능력이 그 위에서 쑥쑥 성장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게 제 지론입니다. 영어든 한국어든 말이죠. 물론 제가 따로 말씀드리지 않았지만 아주 기초적인 문법과 발음기호 정도는 정확하게 알아두고 가야 된다는 말은 당연한 것입니다. 


화상영어와 유튜버 쉐도잉까지는 제가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인터팔을 1년 전부터 취미삼아 하고 있습니다. 인터팔을 하면서 느낀점이 도움 되는 것은 분명하나 인터팔부터 먼저 시작했으면 지금의 제 수준까지 끌어올리려면 정말 많은 시간이 들어가겠구나라고 자각했습니다. 생활영어에 국한되기 때문입니다. 저들이 쓰는 영어가 정말로 일상대화를 하기에는 정말 적절한 화법인 것은 분명합니다. 다만, 처음부터 인터팔을 시작했다면, 딱 생활영어 수준에서 머물렀을지도 모르겠다는 게 현재 제 생각입니다. 기본 문법이 되시고 일상대화수준까지여도 만족하신다면 회화자체로는 인터팔이 아주 득이 큽니다. 하지만 영어권 문화와 비즈니스까지 이해하시는 데는 분명 부족함이 많다고 감히 확신하여 말씀드립니다. 

따라서, 전 화상영어와 유튜버 쉐도잉이 인터팔과 비슷한 언어수준이라면, 뉴스와 신문을 통해서 하시는 걸 경험자로서 권장합니다. 그리고 버벅댄다고 하신다면, 본글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선대본 후청취또는감상하는 방식과 신문, 대본 등에서 난해한 부분이나 인상깊었던 부분을 한국어로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노트에 남겨 일종의 화법 사전 방식을 최대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기초적인 영문법 수준만 잘 갖춰져 있다면, 저한텐 개인적으로 순간 순간 익힌대로(Accustomed) 튀어나와 "어?"하고 당황하게 했던 방법들입니다. 물론 전 이렇게 구분하지 않고 4가지의 소재들만을 가지고 자유롭게 다양하고 수많은 방법론들을 활용하여 변칙적으로  공부하였기 때문에 익숙하게 회화가 되는 순간 이유가 뭘까 역추적하다보니 저게 가장 유력한 두가지 방법이었으므로,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하지만 원리는 둘다 같습니다. 예컨대, 팝송을 따라 부를 때를 한번 생각해봅시다. Imagine Dragons의 Thunder의 (일단 너무 신납니다 ㅋㅋ) 가사를 뽑고 프린트된 가사를 보고 의미를 파악하고 노래를 들으면서 가사를 독해하고, 그러다가 가사를 보지 않는 상황에서 노래를 들어보세요. 분명 우린 나도 모르게 마음속에서 따라 부르면서 가사들이 쏙쏙 들립니다. 여기서 전 세 가지를 깨달았는데요, 발음은 가수의 장르, 지역출신에 따라 발음이 정말 다양하다는 것 (뉴스채널별로 아나운서별로 발음이 상이할 정도로 사실상 영어는 표준어라는 개념이 없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는 우린 이 발음을 따라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흉내를 내려한다는 것, 세번째는 그러기 위해서 그 가수의 화자로서의 리듬을 타려 무의식적으로 애씁니다. 잘 이해가지 않으신다면, 우리가 어릴 때 부모님이 말씀하시는 발음이나 재밌고 유머스런 개그맨들이나 아이들의 언어 행태를 흉내냈던 적을 생각해보세요. 

뉴스와 강연 등의 청취 컨텐츠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본만 주어진다면, 본 글에서 앞서 밝힌 순서대로 컨텐츠를 접근한다면 분명 소재에서 익힌 문장구조와 어휘에 뉴스 해설자의 모방된 발음과 리듬이 첨가되면서 자연스럽게 따라하려고 할겁니다. 그러면서 문장구조와 어휘에 대한 풍부한 배경지식이 넘쳐흐를 지경이 되면 순간순간 튀어나와도 그사람의 발음 속에서 튀어나오면서 유창하게 될겁니다. 제 느낌상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본글에서 밝힌 영화 대본을 활용해 정서를 담는 방법 뿐만 아니라 화법 사전을 만들어보신다면, 분명 세세한 표현력까지 담아내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제 나름의 정당성을 갖고 최대한 참고될만한 내용을 (너무 길게 ㅠㅠ) 적어봤는데 진심으로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